2025년 신용카드 상생페이백 30만원 환급 기준 및 신청 지금 확인
상생페이백은 2024년 월평균 카드사용액보다 2025년 9~11월 월별 소비가 늘어난 금액의 20%를 월 최대 10만 원, 석 달 합계 최대 30만 원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제도입니다.
신청 기간은 9월 15일 09:00부터 11월 30일 24:00까지이며 첫 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 5부제가 적용되고, 지급일은 다음 달 15일입니다.
누가 대상이고 무엇이 제외되며, 어떻게 신청하고 언제 지급받는지 한눈에 정리합니다.
- 환급률 20%·월 최대 10만 원·총 30만 원
- 신청 9/15 09:00 ~ 11/30 24:00, 첫 주 5부제
- 지급일 10/15·11/15·12/15,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 2025 상생페이백 핵심 요약과 환급 구조
올해 9~11월 카드소비가 지난해(2024년) 월평균보다 많을 때 증가분의 20%가 환급됩니다.
환급은 현금이 아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되며, 월별 한도는 10만 원, 3개월 통합 한도는 30만 원입니다.
‘증가분’만 계산한다는 점이 핵심으로, 기준이 되는 2024년 월평균은 본인 카드 사용 내역을 12로 나눠 확인합니다.
1) 증가분 20% 환급 계산 예시
예를 들어 2024년 월평균 카드소비가 120만 원이라면, 2025년 9월에 150만 원을 쓰면 증가분 30만 원의 20%인 6만 원이 환급 대상이 됩니다.
10월에 200만 원을 쓰면 증가분 80만 원의 20%는 16만 원이지만 월 한도 때문에 10만 원으로 제한됩니다.
11월에 180만 원을 쓰면 증가분 60만 원의 20%는 12만 원이지만 역시 10만 원으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9~11월 총 환급액은 6만+10만+10만=26만 원입니다. 월별로 계산·지급·한도 적용
2) 지급일·소급 규정 한 번에 보기
9월 사용분은 10월 15일, 10월 사용분은 11월 15일, 11월 사용분은 12월 15일에 순차 지급됩니다.
11월 30일 자정까지 누리집에서 한 번만 신청해도 9~11월분이 자동으로 소급 반영됩니다.
신청 시 디지털 온누리 앱 회원가입이 필요하며, 시스템 점검 시간(23:30~익일 00:30)에는 접수가 중단됩니다.
신청은 1회면 충분·월별 자동정산
3) 어디서 쓸 수 있나·무엇이 제외되나
지급받은 상품권은 전통시장·상점가 등 전국 다수의 온누리 가맹점에서 사용합니다.
(가맹점 찾기 이용 권장)
소비 실적으로 인정되는 결제는 국내 신용·체크카드로 매장 카드단말기를 통한 결제이며, 온라인 쇼핑몰·배달앱(앱 내 전자결제), 백화점·아웃렛·대형마트·SSM, 대형 전자제품 직영점, 대기업 프랜차이즈 ‘직영’ 매장 등은 제외됩니다.
매장에서 삼성페이·애플페이로 단말기에 대고 결제한 금액은 오프라인 카드결제와 동일하게 인정됩니다.
오프라인 단말기 결제가 핵심
구분 | 핵심 조건 | 지급 방식 | 한도 |
---|---|---|---|
상생페이백 | ’24년 월평균 대비 ’25년 9~11월 증가분 20%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월별 지급) | 월 10만·총 30만 |
상생소비복권 | 8/1~10/12 인정 가맹점 누적 5만 원당 1장(최대 10장) | 추첨 경품(디지털 온누리상품권) | 총 2,025명·10억 원 규모 |
일반 카드 캐시백 | 카드사별 이벤트·전월 실적 등 | 청구할인·포인트 | 카드사 정책별 상이 |
민생회복 소비쿠폰 | 정책별 업종·지역 한정 | 쿠폰·할인권 | 사업별 상이 |
2. 신청 자격과 필요 조건 정확히 확인
만 19세(2006.12.31. 이전 출생) 이상이면서 2024년에 본인 명의 국내 신용·체크카드 사용 실적이 있으면 신청 가능합니다.
내국인과 외국인(국내 카드 사용 실적 보유) 모두 포함됩니다.
여러 카드사의 실적은 합산되지만, 불인정 사용처에서 쓴 금액은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1) 연령·실적·지역 제한 요약
연령은 올해 말 기준 만 19세 이상이며, 실적은 ‘국내’ 신용·체크카드 사용 내역만 인정됩니다.
지역 제한은 없고, 연 매출 30억 원을 초과하는 중소·소상공인 매장도 인정되는 점이 과거 쿠폰 사업과의 차이입니다.
단, 해외 결제·현금·계좌이체는 불인정입니다.
국내 카드 실적이 핵심
2) 결제수단 인정·불인정 정리
실물 카드 결제, 매장 단말기를 통한 삼성페이·애플페이는 인정됩니다.
간편결제 중 앱 내 온라인 결제, 배달앱 결제(만나서 카드단말기로 결제하는 경우 제외), 키오스크·테이블오더의 일부 전자결제는 제외될 수 있습니다.
중복지원 방지를 위해 같은 기간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액은 산정에서 빠집니다.
오프라인·카드단말기·국내결제가 기준
3) 불인정 사용처 체크리스트
백화점·아웃렛·대형마트·SSM, 대형 전자제품 직영점, 대기업 프랜차이즈 ‘직영’ 매장, 온라인 쇼핑몰·배달앱(전자결제), 공과금·세금·보험료 등은 일반적으로 불인정입니다.
소상공인 매장이라도 카드단말기가 아닌 간편결제만 가능하면 누락될 수 있으니 결제 전 확인하세요.
결제 전 매장 유형·결제수단 확인 필수
3. 신청 기간과 5부제 운영 일정
신청은 9월 15일(월) 09:00부터 11월 30일(일) 24:00까지입니다.
첫 주(9/15~9/19)는 출생연도 끝자리 5부제를 운영합니다:
월(5·0),
화(6·1),
수(7·2),
목(8·3),
금(9·4).
9월 20일 이후에는 요일 제한 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지원처(전통시장 상인회·소상공인지원센터 등)는 11월 28일(금)까지 평일 운영합니다.
1) 첫 주 5부제 적용 이유
초기 트래픽을 분산해 시스템 혼잡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5부제 기간에는 해당 요일에만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고, 이후에는 출생연도와 무관하게 자유 신청입니다.
현장 방문이 필요한 분은 가까운 지원처를 이용하세요.
9/20부터는 전원 신청 가능
2) 소급 반영·마감 주의
11월 30일까지 한 번만 신청해도 9~11월 소비 증가분이 월별로 자동 반영되고, 해당 월의 지급일(매월 15일)에 순차 지급됩니다.
단, 마감 직전에는 본인인증 지연이나 접속 폭주가 있을 수 있으니 여유 있게 신청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한 번 신청하면 3개월 자동 반영
3) 기준월평균 확인 팁
상생페이백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한 2024년 월평균 카드소비액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의 신용·체크카드 사용 내역을 합산해 12로 나누면 스스로도 검증할 수 있습니다.
기준값 미리 점검
4. 신청 방법 온라인·오프라인 절차 총정리
온라인은 누리집 접속 → 본인인증(간편인증 등) → 디지털 온누리 앱 회원가입(미가입 시) → 동의 및 신청 순서입니다.
오프라인은 전통시장 상인회·소상공인지원센터·일부 은행 영업점 등에서 신청 지원만 제공하니 신청 대행으로 오해하지 마세요.
1) 온라인 신청 5단계
① 누리집 접속
② 본인인증
③ 개인정보·이용 동의
④ 디지털 온누리 앱 계정 연동
⑤ 신청 완료.
이후에는 매월 카드를 평소보다 쓰기만 하면 증가분이 자동 계산되어 다음 달 15일에 지급됩니다.
시스템 점검 시간(23:30~00:30)에는 신청이 제한됩니다.
신청은 1회면 끝
2) 오프라인 지원 이용법
디지털 취약계층은 9/15~11/28(평일) 가까운 전통시장 상인회·소상공인지원센터 등에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리 신청이 아니라 ‘보조’이므로 신분증·휴대전화 등을 지참해 본인인증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본인 인증 필수
3) 스미싱·피싱 주의
정부·카드사·부처는 링크가 포함된 문자·메신저로 신청을 유도하지 않습니다.
‘상생페이백 신청하기’ 등 클릭 유도형 메시지는 열람·클릭하지 말고 삭제하세요.
주소창을 직접 입력해 접속하고, 의심 문자는 112·금융감독원으로 신고하세요.
공식 누리집 직접 접속
- 온라인 1회 신청 후 자동 정산
- 오프라인은 ‘신청 지원’만 제공
- 정부 문자·카톡 링크 발송 없음(피싱 주의)
구분 | 예시 | 인정 여부 | 비고 |
---|---|---|---|
전통시장·동네상권 |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카페 | 인정 | 카드단말기 결제 |
대형 유통 채널 | 백화점, 아웃렛, 대형마트, SSM | 불인정 | 직영 대형매장 제외 |
프랜차이즈 | 대기업 직영 매장 | 불인정 | 가맹·중소 운영점은 가능 |
온라인·배달앱 | 쇼핑몰·앱 내 전자결제 | 불인정 | 매장 ‘만나서 결제’는 인정 |
간편결제 | 삼성·애플페이(매장 단말기) | 인정 | 타 결제는 미인정 가능 |
5. 지급받은 온누리상품권, 이렇게 쓰면 편합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지급일로부터 유효기간 5년이며, 전국 다수 가맹점(전통시장·동네마트·음식점·소규모 학원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앱에서는 잔액·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온누리 우선 차감 설정으로 페이백을 먼저 쓰도록 할 수 있습니다.
1) 가맹점 찾기·우선 차감
온누리 앱 ‘가맹점 찾기’ 기능을 활용해 주변 사용처를 확인하세요.
지급된 상품권이 먼저 쓰이도록 ‘우선 차감’ 설정을 켜 두면 유효기간 관리가 쉬워집니다.
가족 합산은 되지 않으므로 각자 앱에서 결제하세요.
가맹점 검색·우선 차감이 핵심
2) 정산·환수 규정
카드사 매입 지연으로 해당 월에 누락된 금액은 다음 달 지급 시 추가 반영됩니다.
반대로 카드 취소가 발생해 과지급된 경우에는 다음 달 지급분에서 차감하거나 앱 동의를 거쳐 환수됩니다.
영수증·명세서를 보관하면 분쟁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누락은 다음 달 보정·과지급은 환수
3) 상생소비복권도 놓치지 마세요
10월 12일까지 누리집에서 상생페이백을 신청하면 상생소비복권에 자동 응모됩니다.
인정 사용처에서 카드로 5만 원 누적 결제할 때마다 복권 1장이 발급되며(최대 10장), 총 2,025명에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경품(총 10억 원 규모)이 지급됩니다.
페이백+복권 동시 노리기
6. 실제 사례로 보는 환급 계산 시나리오
기준을 숫자로 보면 더 직관적입니다.
아래 사례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이며, 실제 환급액은 카드 매입 시점·불인정 사용처 제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사례 A: 알뜰 소비형
2024년 월평균 100만 원, 9~11월 각각 110만/130만/120만 원 사용.
증가분은 10만/30만/20만 원 → 환급 2만/6만/4만=총 12만 원.
월별 한도에 걸리지 않아 전액 환급됩니다. 누적 12만 원
2) 사례 B: 한도 도달형
2024년 월평균 120만 원, 9~11월 각각 150만/200만/180만 원 사용.
증가분은 30만/80만/60만 원 → 환급 6만/16만/12만이지만 월 한도 10만 원 적용으로 6만/10만/10만=총 26만 원.
월 10만 원 상한 확인
3) 사례 C: 월별 편차형
2024년 월평균 150만 원, 9~11월 각각 140만/220만/170만 원 사용.
9월은 증가분이 없어 0원, 10월은 증가분 70만 원 → 환급 14만 원(10만 원 한도), 11월은 증가분 20만 원 → 환급 4만 원.
총 14만 원입니다.
증가한 달만 환급
7. 자주 묻는 질문
- Q. 신청은 몇 번 해야 하나요?
- 11월 30일까지 1회만 신청하면 9~11월 월별 증가분이 자동 반영됩니다. 이후에는 추가 신청 없이 다음 달 15일마다 순차 지급됩니다.
- Q. 온라인 결제·배달앱 결제도 인정되나요?
- 일반적으로 온라인 결제는 제외됩니다. 다만 배달앱에서 ‘만나서 결제하기’로 가맹점 카드단말기에 대고 결제하면 오프라인 결제로 인정됩니다.
- Q. 간편결제는 어떻게 취급되나요?
- 매장 카드단말기를 사용한 삼성페이·애플페이는 오프라인 카드결제로 인정됩니다. 앱 내 전자결제 등은 불인정될 수 있으니 단말기 결제를 권장합니다.
- Q. 어느 가맹점에서 온누리상품권을 쓸 수 있나요?
- 전국 다수의 온누리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온누리 앱의 ‘가맹점 찾기’로 가까운 사용처를 확인하세요. 유효기간은 지급일로부터 5년입니다.
- Q. 상생소비복권은 어떻게 참여하나요?
- 10월 12일까지 상생페이백을 신청하면 자동 응모됩니다. 인정 사용처에서 5만 원 누적 결제마다 복권 1장(최대 10장)이 발급되며 경품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입니다.
댓글